그것은 뭉크가 수백 년의 세월 동안 역사나 예술이 외면했던 개인의 불안, 슬픔, 고통을 곱씹으며 ‘삶이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인 문제에 접근했기 때문입니다.
죽음 앞에서는 누구나 혼자일 수 밖에 없다는 외로움, 언젠간 맞아야 할 결말인 죽음, 우리는 왜 이 세상에 왔는가 라는 의문 같은 것들.
살면서 느끼는 이런 감정들은 종교와 같은 이데올로기에 묻혀 좀처럼 생각되지 않는 것들이었죠.
그러나 20세기 전환기 프리드리히 니체의 철학,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학처럼 개인을 중심에 두고 오래된 이데올로기를 부수는 학술적 결과는 물론 과학, 기술, 사회에서 많은 것이 변화하며 터져 나오는 개인의 감정, 욕망, 불안, 이런 것을 ‘절규’는 예고하고 있습니다.
그 후 오랜 시간이 지나 '절규'는 많은 사람의 마음을 끌어 당기는 작품이 되었죠. 여기에 새겨진 '미친 사람이 그릴 그림'이라는 글씨, 자신이 느끼는 것을 솔직하게 대면하려 했던 예술가의 흔적으로 영원히 남게 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