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구팀 발표 "노년"에 반려동물이 필수인 이유 밝혔습니다.

최근 미국 미시간대학교의 연구팀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반려동물을 기르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인지 기능 저하 속도가 느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6년간 진행된 종단 연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되었으며, 반려동물을 5년 이상 키운 사람들에게서 기억력, 주의력, 언어 능력 등 주요 인지 영역의 감퇴가 상대적으로 덜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단순한 정서적 안정감을 넘어, 뇌 건강의 생물학적 유지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다.
 이제 반려동물은 ‘마음의 치유자’ 수준을 넘어 인지 건강에 기여하는 요인으로 과학적 논의의 중심에 서고 있다.

정기적 일상 루틴이 뇌를 자극한다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것은 단순한 동거가 아니라 꾸준한 일상 관리 활동을 요구한다.
 사료 급여, 산책, 배변 정리, 정기 검진 등의 일과가 매일 반복되면서 뇌의 전두엽과 해마를 지속적으로 자극하게 된다.
 특히 노년기에는 일상 패턴이 무너지고 자극이 줄어들면서 인지 기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반려동물을 돌보기 위한 책임감 있는 루틴이 오히려 ‘외부 자극’의 역할을 하며, 인지적 활력을 유지시켜준다.
 이처럼 작은 루틴이지만 반복되는 사고와 실행 과정을 통해 신경 회로가 유지되며, 결과적으로 인지 퇴화를 늦추는 데 기여하게 된다.

정서적 안정이 스트레스 호르몬을 낮춘다

노년층 인지 저하의 또 다른 원인 중 하나는 만성 스트레스다.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과다 분비될 경우 해마와 전두엽에 손상을 주며, 장기적으로는 기억력과 학습 능력에 악영향을 미친다.
 반려동물과의 교감은 이러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한다.

동물과의 교류는 옥시토신과 세로토닌 같은 긍정적인 신경전달물질을 분비시키고, 실제로 반려동물을 쓰다듬는 행동만으로도 심박수가 안정되고 혈압이 낮아지는 생리적 변화가 유도된다.
 이러한 신체 반응이 반복되면 스트레스 관련 뇌 손상이 줄어들고, 이는 곧 인지 기능 보존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사회적 고립을 막는 ‘비언어적 소통’의 가치

노년기에는 은퇴, 가족 변화, 신체 기능 저하 등의 이유로 사회적 고립이 증가하기 쉽다.
사회적 고립은 인지 기능 저하의 강력한 위험 요인으로, 최근 WHO도 이를 인지장애의 조기 경고 신호로 간주하고 있다.
 반려동물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소통할 수 있는 존재다.
정서적 유대감, 반응, 접촉 등 비언어적 소통이 일상의 공허함을 채워주며 정서적 활력을 유지하게 만든다.

특히 개를 기르는 경우에는 산책을 통해 외부 사람들과의 접점도 늘어나고, 고양이와의 교감은 자기 표현과 정서 해석 능력을 자극해 사회적 인지 유지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결국 혼자가 아니라는 감각은 뇌의 감정 조절 능력을 보호하는 방어막 역할을 한다.

뇌세포 보호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적 변화까지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의 뇌에서는 실제로 구조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연구도 있다.
 미국 NIH에서 지원한 한 신경과학 연구에 따르면 반려동물과 장기적으로 생활한 노인의 경우, MRI상에서 해마의 위축 속도가 완만하게 나타났고, 뇌의 대사 활성도도 상대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단지 기분이 좋아진다는 심리적 요인을 넘어서 생리적, 신경학적 변화가 동반되고 있다는 의미다.

또한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혈류 순환이 증가하고, 낮은 강도의 신체 활동이 촉진됨으로써 전반적인 뇌 건강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년 이상 반려동물을 키운 집단에서 이런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일시적인 위안이 아닌 장기적 생활습관으로의 정착이 중요하다.

퇴직자들이 털어놓은 은퇴 후 가장 후회되는 것 

노후자금 더 챙길 수 있었는데...







은퇴 후 삶의 질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 중 하나인 노후 준비.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가 생애 주된 직장에서 퇴직한 50대 이상 남녀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1위 후회 항목은 '연금저축·연금보험 등 개인연금에 더 관심 가질걸'이었다.
이번 설문 결과는 은퇴 이후 후회 없는 삶을 위해 연금 준비의 중요성을 돌아보게 한다.
퇴직 전 어떤 부분을 점검해야 할지 고민 중이라면, 퇴직자들의 목소리를 참고해 나의 노후 준비 상태를 점검해 보자.

퇴직 후 연금 관련 후회되는 한 가지는?

1위(43.5%) 연금저축, 연금보험 등 개인 연금에 관심 더 가질걸

2위(26.75%) 국민연금 좀 더 받을 수 있게 신경쓸걸

3위(14.5%) 후회되는 것 없음

4위(8.75%) 퇴직금, 퇴직연금 찾아 쓰지 말걸

5위(5.5%)기타

6위(1%) 미련 없이 주택연금 신청할걸

“진작 할 걸”…윈도우 초기화가 절실한 6가지 순간

초기화를 미루다가는 치명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상태가 더 악화되기 전, 지금이 바로 리셋할 때다.

Man working on a Windows 11 laptop clearly on screen

Credit: Melnikov Dmitriy

마침내 실행했다.
문제로 가득한 윈도우 환경을 몇 달 동안 감내한 끝에, 과감하게 공장 초기화 버튼을 눌렀다.
그 결과는 놀라울 정도로 상쾌했다.
진작 했어야 했지만, 늘 파일 이동과 앱 재설치가 번거로울 것 같아 미뤄왔다.
초기화는 시스템을 새것처럼 빠르게 복원해주고, 수년간 쌓여온 불필요한 소프트웨어(블로트웨어)를 일괄 정리해준다.

솔직히 말해 이 이야기를 꺼내는 것이 적잖이 부끄럽다.
동료 기자가 정기적인 PC 초기화를 적극 추천한 이유를 이제야 체감했다니 말이다.

지금 필자의 윈도우는 새로 설치한 듯 깔끔하고 빠르게 작동한다.
독자도 꼭 체험해보길 바란다.
아직 확신이 들지 않는다면, 지금 윈도우 PC를 초기화해야 할 6가지 신호를 소개한다.

신호 1 : PC 속도가 평소보다 느려졌다

필자의 주력 PC는 사양이 꽤 강력하다.
하드웨어 샘플과 업계 지인을 통해 가격 대 성능비를 챙기면서도 성능이 뛰어난 시스템을 구축했다.
AMD 라이젠 9 7950X3D 프로세서를 중심으로, 32GB DDR5 RAM, 용량이 큰 PCIe 4.0 스토리지, 파워컬러 레드 데빌 7900 XTX가 장착된 시스템이다.
9950X3D를 제외하면, 현존하는 AMD 조합 중 가장 빠른 구성이다.

하지만 최근까지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일반적인 작업 성능은 나쁘지 않았지만, 이 정도 사양이면 어떤 작업을 하든 문제가 없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레임 속도 저하, 프레임 타임 불안정, 듀얼 모니터 탭 전환 시 이상한 퍼포먼스 하락, 게임이나 앱을 실행할 때 수초간 멈추는 현상이 반복됐다.

Tabletop Simulator PC game I basically only use my PC to play Tabletop Simulator. It’s complete overkill, I know, but when that app slows down… well, you know it’s time to do something about it.

JON MARTINDALE / FOUNDRY

드라이버 교체, BIOS 업데이트, 윈도우 업데이트, 블로트웨어 제거, 새 장치 분리, 시스템 복원 등 여러 방법을 동원해봤지만, 문제는 항상 다시 나타났다.

하지만 공장 초기화 이후, 문제를 일으키던 무언가가 사라졌고, 이제 다시 쾌적한 게임 및 작업 환경을 즐기고 있다.
잊고 있었던 성능을 되찾은 기분이다.

신호 2 : 오류나 충돌이 자주 발생한다

윈도우 사용법 및 문제 해결 관련 기사를 수백 건 이상 작성한 필자는 웬만한 문제는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고 자부해왔다.
친척들 사이에서는 ‘컴퓨터 전문가’로 통하고 있으며, 지인의 문제도 도맡아 해결해준다.

그런 만큼, 자신의 PC에서 오류나 충돌이 발생했을 때도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어떻게든 직접 해결하고 싶은 자존심 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문제는 정말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까지 치닫는다.

Logitech G-Hub app stuck in loading screenshot

JON MARTINDALE / FOUNDRY

예를 들어, 필자의 로지텍 웹캠은 절전 모드 후 PC를 깨울 때마다 시스템이 멈추는 문제를 일으켰다.
드라이버 문제로 추정됐지만, 드라이버 업데이트, 여러 차례 재설치, USB 포트 변경, 관리자 소프트웨어 재설치 등 모든 방법이 소용없었다.
링 조명은 USB 초기화 지연을 유발했고, 게임메이커 스튜디오(GameMaker Studio)는 실행 도중 멈추는 현상까지 발생했다.
듀얼 모니터는 재부팅 후 항상 하얗게 깜빡이며, 케이블을 다시 꽂아야만 정상화됐다.

이러한 자잘한 문제들이 쌓이면서 PC 사용 자체가 고통이 됐다.
끝까지 고치려 애썼지만, 결국 참을 수 없어 초기화를 단행했다.
처음부터 리셋했더라면 시간을 아꼈을 것이다.

PC가 버그나 오류, 충돌로 골치를 썩이고 있다면 직접 고쳐보는 것도 좋지만, 해결되지 않거나 반복된다면 공장 초기화가 가장 현명한 선택이다.
많은 시간과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신호 3 : 불필요한 소프트웨어가 잔뜩 쌓여 있다

필자는 최대한 간결한 시스템을 선호한다.
시작 프로그램 목록은 가능한 한 줄이고, 사용하지 않는 앱은 항상 종료하려 노력한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관련 글을 쓰다 보면 테스트를 위해 원치 않는 앱을 설치해야 할 때가 많다.
사용법 가이드, 스크린샷 촬영, 기능 분석을 위해서다.

Lots and lots of bloatware installed apps screenshot

JON MARTINDALE / FOUNDRY

문제는 테스트 후 앱을 바로 삭제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나중에 다시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게 시간이 지나면, 더 이상 쓰지 않는 앱이 계속 쌓여 거대한 블로트웨어 집합체가 된다.

이런 앱을 하나하나 삭제하는 데 드는 시간은 매우 아깝다.
이럴 땐 윈도우 공장 초기화로 한 번에 정리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사용하지 않는 앱이 넘쳐나고 있다면, 전체 초기화가 저장 공간도 확보하고 시간을 절약하는 훌륭한 해결책이다.

신호 4 : 마지막 초기화 이후 수년이 지났다

윈도우 PC는 정기적으로 초기화하는 것이 좋으며, 연 1회가 이상적이라는 게 일반적인 권장사항이다.
그러나 필자는 자랑스럽지 않게도 3년 동안 초기화를 하지 않았다.
그 사이 블로트웨어, 성능 저하, 끈질긴 오류가 쌓여갔다.
(독자에게는 하지 말라고 했지만 정작 온갖 PC 사용 실수를 저질렀다.)

Windows reset cloud download

FOUNDRY

다른 신호들은 모두 무시하더라도, 최소한 이 기준은 꼭 지켜야 한다.
매년 윈도우 초기화를 봄맞이 대청소처럼 정례화하면, 각종 사소한 문제가 쌓이기 전에 미리 정리할 수 있다.

신호 5 : PC를 업그레이드할 계획이 있다

PC를 대대적으로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라면, 그 시점이 바로 초기화를 실행하기에 가장 좋은 기회다.
물론 GPU를 교체할 때는 Display Driver Uninstaller 같은 도구로 정리할 수 있지만, 다른 구성요소의 경우 레거시 드라이버나 설정이 남아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Samsung 990 PRO internal SSD plugged into motherboard

SAMSUNG MEMORY

경우에 따라선, 하드웨어가 너무 많이 바뀌면 윈도우 자체가 불안정해져 초기화를 강제하게 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새 하드웨어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신규 하드웨어에 맞춘 깔끔한 환경을 즐길 자격은 누구에게나 있다.
초기화를 생략하면 신제품의 잠재력을 낭비하는 셈이다.
예전 하드웨어에서도 효과가 좋았는데, 새로운 부품과 함께라면 그 효과는 배가될 것이다.

신호 6 : 악성코드에 감염됐다

현대 PC 보안 솔루션은 상당히 강력하다.
랜섬웨어 차단, AI 기반 악성코드 탐지, 신원 도용 방지, 피싱 차단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윈도우 자체 보안 기능도 이제는 별도 백신이 없어도 될 정도로 강력해졌다.

"Voldemort"-Malware im Umlauf

SOLARSEVEN

하지만 악성코드는 이러한 시스템을 우회할 방법을 계속해서 찾는다.
더구나 감염 후 완전히 제거됐는지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이럴 때는 계속해서 개인정보가 유출되고 있는 건 아닐까 하는 불안감에 시달리게 된다.

악성코드 감염 이후 완전한 안심을 원한다면, 윈도우 공장 초기화가 최선이다.
한층 더 철저히 하려면 하드 드라이브를 완전 초기화하거나, 새 드라이브로 교체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

원금 보장에 10% 수익, 은퇴자들에게 숨은 보물 같은 투자

15일 조선일보 경제 유튜브 ‘조선일보 머니’에서는 원금이 보장되는 주식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을 주제로 한 ‘은퇴스쿨’ 2부가 공개됐다.
조재영 웰스에듀 부사장이 ‘현명한 스팩 투자법’에 대해 설명했다.

스팩은 기존의 기업공개(IPO) 절차를 간소화해 비상장 기업이 빠르게 상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종의 페이퍼 컴퍼니다.
일반적으로 공모가와 액면가가 모두 2000원이다.
미 스테이블 코인 기업 ‘서클’, 미 양자컴퓨팅 기업 ‘아이온큐’, 국내 이발소 프랜차이즈 기업 ‘블루클럽’이 스팩을 통해 상장했다.

조재영 부사장

조재영 부사장

스팩 투자의 첫 번째 장점은 안정성이다.
스팩의 공모 자금은 90% 이상을 한국증권금융 등에 예치해놔야 한다.
이 예치한 돈은 인출도, 담보 제공도 안 된다.
보다 안전하다는 것이다.
만약, 스팩이 상장 후 합병에 실패하면 어떻게 될까? 상장된 지 2년 6개월 내에 합병에 실패하면 이 회사는 청산된다.
이 경우 주주들은 원금에 이자까지 함께 돌려받는다.
원금에 수익까지 보장되는 것이다.
조 부사장은 “실제로 2025년 5월에 하나금융 25호 스팩이 청산됐는데 당시 수익률은 10% 정도였다”며 “합병이 되지 않더라도 예금 이자보다도 낫다”고 말했다.

두 번째 장점은 유동성이다.
환금성(자산을 현금화하기 편안한 용이성)이라고도 표현된다.
스팩은 공모 후 바로 상장된다.
언제든 팔 수 있다.
이후 합병을 할 때는 주주총회를 해야 한다.
만약 합병에 반대하는 소액 주주가 있을 경우 주식 매수 청구권이 발동한다.
만약 스팩 주주가 합병에 반대하면 회사에서 그 주식을 시가보다 조금 높은 가격에 사준다는 것이다.
조 부사장은 “물론 이 경우에는 장외 거래로 분류되기 때문에 양도소득세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세 번째는 수익성이다.
최근 뜨거운 공모주 시장을 적은 자금으로 진입할 좋은 기회라는 것이다.
이렇게 상장한 스팩은 언제 팔면 좋을까? 조 부사장은 “앞으로 시장이 어떻게 될지 예측하기 어렵다면 첫날 파는 것을 추천한다”고 했다.
스팩은 상장 첫날 유난히 오르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조 부사장은 스팩을 고를 때는 증권회사 상위 10개 회사의 합병 실적을 따져보는 것이 좋다고 했다.
최근 3년간 스팩을 주관했던 증권회사들의 합병 실적을 보면, 대신증권은 6개를 상장시켜 6개 합병, 하나증권은 10개를 상장시켜 9개 합병에 성공했다.

그 외 더 자세한 스팩의 모든 것은 ‘조선일보 머니’에서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에서 ‘은퇴스쿨’ 영상을 보시려면 다음 링크를 복사해서 접속해보세요. https://youtu.be/W3JOOtWuu0E

내 노후 자금 믿고 맡겼는데 “설마 이럴 줄은”…

By 하영상 기자

전문가 믿고 맡겼던 운용 전략
주식시장 흔들고 비용만 늘어
이제는 직접운용 확대 목소리 커져

노후

국민연금 위탁운용 / 출처 : 연합뉴스

“내 노후 자금이 줄줄 새고 있다”는 말은 결코 과장이 아니었다.

국민연금이 외부 전문가에게 돈을 맡겨 대신 투자하게 한 전략 일부가 오히려 시장을 흔들고, 예상치 못한 비용까지 키운 것으로 드러났다.

더 잘 굴리려던 시도가 오히려 수익을 깎는 결과로 이어졌다는 분석에, 운용 방식을 다시 뜯어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민연금은 왜 외부 전문가에게 돈을 맡겼을까

노후

국민연금 위탁운용 / 출처 : 뉴스1

국민연금이 굴리는 자산은 무려 1000조 원이 넘는다.
이 돈을 전부 국민연금이 직접 관리하기엔 한계가 있어, 일부는 ‘외부 자산운용사’에 맡긴다.

흔히 말하는 투자 전문가들에게 일정 금액을 나눠주고, 그들이 대신 주식이나 채권을 사게 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맡기는 걸 ‘위탁운용’이라고 부른다.
수익률을 높이고, 위험도 분산하기 위해 도입된 시스템이었다.

2025년 현재 국민연금 전체 자산의 약 절반이 위탁운용 중이다.
국내 주식만 따져도, 약 50%가량이 외부 전문가의 손에 맡겨져 있다.

그런데 최근 국민연금연구원이 낸 보고서에 따르면, 외부에 맡긴 전략 중 일부는 오히려 시장에 지나친 충격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

국민연금 위탁운용 / 출처 : 연합뉴스

특히 외부 운용사들이 주식을 한꺼번에 대량으로 사고팔면, 주가가 크게 움직이는 일이 많았다.
쉽게 말해, 너무 많은 돈을 한 번에 움직이다 보니 주가가 출렁였고, 그 여파로 연금이 손해를 본 셈이다.

같은 조건에서도 국민연금이 직접 투자할 땐 거래 시점을 나눠 움직이는 등 훨씬 신중하게 대응해 이 같은 충격을 줄였다는 분석이 나왔다.

수익은 줄고, 개미들까지 따라 흔들렸다

국민연금의 거래는 시장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다른 투자자들의 행동까지 바꾸는 결과로 이어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들은 국민연금이 움직일 때 반대로 거래하는 경우가 많았다.

노후

국민연금 위탁운용 / 출처 : 연합뉴스

국민연금이 주식을 대량으로 팔면 싸질 걸 예상하고 사들이고, 살 때는 비쌀 걸로 보고 팔아버리는 식이다.
이 같은 ‘역방향 전략’은 시장의 단기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이 된다.

이 문제는 단순히 투자 방식의 문제가 아니다.
이 돈은 국민의 노후를 위해 모아둔 연금이기 때문이다.
어떤 운용 전략을 택하느냐에 따라, 먼 미래에 받을 연금액이 달라질 수 있다는 뜻이다.

국민연금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위탁운용 전략 전반을 다시 점검하고, 성과가 떨어지는 운용사에 대해서는 보다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문가에게 맡기면 다 알아서 잘해주겠지’라는 막연한 믿음에서 벗어나, 이제는 국민의 자산을 어떻게 더 효율적으로 지킬 것인지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 쓰기

Welcome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