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어린 시절 겪은 언어폭력과 신체학대가 성인이 된 후 비슷한 수준으로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해식 기자
영국 의학저널 오픈(BMJ Open)에 발표한 대규모 세대 간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아동 약 6명 중 1명이 부모나 보호자로부터 신체적 학대를 겪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신체적 외상뿐만 아니라, 정신·신체 건강 전반에 걸쳐 평생 지속되는 악영향을 유발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이로 인해 불안, 우울증, 알코올과 약물 남용, 위험한 행동, 타인을 향한 폭력,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언어적 학대 역시 아이들의 신경생물학적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독성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전 세계적으로 약 3명 중 1명의 아동이 언어폭력에 노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럼에도 아동폭력 예방정책은 대부분 신체적 학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에 언어폭력의
위험성은 종종 간과된다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리버풀 존 무어스 대학교가 주도한 이번 연구는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1950년대 이후 출생한 2만 여명을 대상으로 2012~2024년 수행한 7개의 연구를 메타 분석했다.
그 결과 어린 시절 신체적 또는 언어적 학대를 경험한 사람은 성인이 됐을 때 정신적 웰빙 수준이 낮을 확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각각 52%와 64% 더 높았다.
언어적 학대 경험이 수치상으론 더 큰 영향을 미쳤지만 연구진은 통계적으로 의미 없는 차이라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두 가지 유형의 학대를 모두 겪은 경우에는, 낮은 정신건강을 보일 확률이 두 배 이상(115%) 증가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논문 제1저자인 마크 벨리스 교수는 “아동기의 언어적 학대가 신체적 학대만큼 정신 건강에 깊고 지속적인 상처를 남길 수 있다”라고 말했다.
시대가 변화면서 신체적 학대는 줄어드는 반면 언어폭력은 증가하는 경향도 포착됐다.
신체적 학대는 1950~1979년생 사이에서 약 20%였으나, 2000년 이후 출생자에서는 10%로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반면 언어적 학대는 1950년 이전 출생자에서는 12%였으나, 2000년 이후 출생자에서는 약 20%로 증가했다.
학대 경험은 사회·경제적 취약 지역에서 가장 높았다.
연구진은
“점점 더 많은 국가에서 아동에 대한 신체적 학대를 금지하는 정책을 펴면서 과거 체벌, 훈육, 교육 목적이라고 여겨졌던 행위도 불허되고 있다”며 “이러한 변화는 자녀 양육, 훈육, 통제에 있어 적절한 방식에 대한 교육과 지원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만약 이러한 지원이 부족하고 언어적 학대의 해로움에 대한 공공의 인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신체적 체벌을 줄이려는 정책이 오히려 언어적 학대로 대체되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검 출석한 김건희, 땅만 보고 몸 떨며 ‘긴장 역력’···유튜버들로 일대 소란
이홍근 기자
주가조작, 사넬백 등 16개 의혹에 대한
수사 대상인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6일 본인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 사무실이 있는 서울 KT광화문 웨스트빌딩으로 출석하고 있다.
이준헌 기자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6일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김 여사 구속을 바라는 진보 유튜버들과
윤 전 대통령 석방을 바라는 보수 유튜버들이 특검 사무실 근처에서 부딪히면서 일대에선 소란이 빚어졌다.
김 여사는 이날 조사 통보 시간보다 10분 늦은 오전 10시10분쯤 서울 종로구 KT광화문 웨스트빌딩 앞에 도착했다.
검은색 카니발 차량에서 내린 김 여사는 걸어서 포토라인을 통과했다.
검정 재킷과 정장 치마를 입고 검은색 가방을 들었다.
김 여사는 차량에서 내려 건물에 들어갈 때까지 줄곧 시선을 바닥에 고정한 채 걸어갔다.
호흡이 가쁜지
한숨을 내쉬거나 몸을 미세하게 떠는 등 긴장한 기색을 보이기도 했다.
특검팀 안내를 받아 2층으로 올라간 김 여사는 취재진에게 “국민 여러분께 저같이 아무것도 아닌 사람이 심려를 끼쳐서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수사 잘 받고 나오겠다”고 말했다.
다른 질문엔 답하지 않았다.
특검 사무실 일대는 이른 시간부터 김 여사 출석 장면을 찍기 위한 유튜버들로 가득했다.
보수 성향 유튜버들은 김 여사 출석을 기다리며 “윤석열 대통령은 우리가 지킨다” “이재명 구속” 등의 구호를 외쳤다.
진보 성향 유튜버들은
김 여사 차량 위치를 중계하며 경쟁적으로 “김건희 구속”을 외쳤다.
김 여사를 향해 욕설과 여성 혐오 발언을 하는 이들도 있었다.
경찰은 물리적 충돌을 우려해 빌딩 일대를 폴리스라인으로 둘러치고 지지자들과 유튜버의 출입을 통제했다.
이들은 폴리스라인 바깥에서 김 여사 출석을 지켜봤다.
보수 유튜버와 진보 유튜버들이 김 여사를 기다리며 서로 욕설을 하고 조롱하는 등 갈등이 빚어지긴 했으나 경찰의 제지로 직접 충돌하진 않았다.
김 여사는 특검 측에 이날 오후 6시쯤 조사를 마쳐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이 이를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김 여사 측 반대로 조사 과정을 녹화하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