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치료제 투약 멈추면…체지방·식욕은 회복, 근육만 안 는다

 비만치료제 투약 멈추면…체지방·식욕은 회복, 근육만 안 는다

위고비와 마운자로 같은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계열 비만치료제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사용해 체중을 줄인 모습을 보이며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경제적 여유가 있어 장기간 약값을 부담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언젠가는 중단해야 해 투약 종료 이후가 문제다.
약에 맡겨 억눌렀던 식욕이 다시 돌아오면서 몸무게가 불어나는 ‘요요현상’이 생기면 건강 상태가 투약 전보다 나빠질 위험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줄었던 체중이 다시 돌아오는 문제는 비만치료제를 썼을 때만 생기는 것은 아니다.
식사량을 줄이는 전통적인 방식의 다이어트 후에도 다시 전처럼 먹는 양이 늘어나면 살이 붙게 마련이다.
살이 빠지는 과정에선 가장 먼저 체내 수분이 줄어들고 근육을 움직이는 에너지원으로 저장된 글리코겐이 함께 감소한다.
감량을 지속할수록 주된 목표인 체지방도 빠지지만 근육량 역시 줄어들어 전체 몸무게는 줄고 외형은 날씬해지는 효과가 나타난다.

GLP-1 계열 치료제는 투약하는 동안 식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충분한 기간 사용하면 감량 효과는 더 커질 수 있다.
개인차가 있지만 위고비 성분인 세마글루티드에 대한 2단계 임상연구에선 약 1년3개월까지 효과를 유지했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한국·태국 국제 공동연구팀이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도 약 10개월간 체중이 평균 16% 감소했다는 결과가 발표됐다.
부작용이 건강을 크게 위협할 정도로 심각하지 않다면 현재까지는 장기간 투약도 문제가 없다는 것이 의료계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하지만 투약을 끝낸 뒤가 문제다.
국제학술지 ‘비만 리뷰’에 게재된 해외 연구를 보면 투약 중단 후 1년 내외의 기간 동안 줄어들었던 체중이 대부분 이전 상태로 돌아왔다는 결과가 나왔다.
다른 다양한 연구에서도 줄었던 체중의 상당 부분이 돌아오는 경향은 공통적으로 관찰됐다.
살이 빠질 때 체지방과 함께 감소했던 근육을 투약 중단 후 회복하기 어렵다는 점은 가장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다.
따로 운동을 하지 않는다면 체중이 다시 불어나는 요요현상이 나타날 때 증가하는 체성분 대부분이 근육이 아닌 지방이기 때문이다.
일례로 체중 60㎏에 근육 비율이 40%(24㎏), 체지방 비율이 25%(15㎏)인 여성이 비만치료제 투약 기간 중 근육과 지방에서 각각 3㎏씩 줄여 체중의 10%를 뺐을 때, 투약 중단 후 다시 체지방량 3㎏, 근육량 1㎏이 늘었다면 체성분 비율은 악화될 수밖에 없다.
체중은 58㎏으로 줄었지만 근육의 비율은 37.9%(22㎏)로 낮아지고, 체지방 비율은 25.8%(15㎏)로 높아져 신체 건강 상태는 더 나빠진 것이다.
개인의 운동 경험과 성별, 신체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근육 1㎏을 늘리려면 1~4개월 정도 지속적인 근력운동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비만치료제가 근본적인 치료법이 아니라 보조적 수단일 뿐임을 기억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신진영 건국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비만의 원인은 유전, 호르몬, 식습관, 정신건강 등 복합적이기 때문에 단순히 약물 하나로 해결되기 어렵다”며 “식사요법과 행동치료를 포함해 운동요법까지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만의 사회적 비용은 비만치료제 사용과 이후 건강 관리에 들어가는 금액을 포함해 동반되는 만성질환 치료와 생산성 손실, 간병비 등 폭넓게 지출되므로 사회적 차원의 예방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 학계에선 비만이 유발하는 사회적 비용이 2021년 기준 15조6382억원에 달했다고 보고 있다.
이준혁 노원을지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비만이 안 생기는 환경을 설계하기 위한 노력이 부족한 데다 비만이 가진 ‘중독질환’ 속성을 반영한 정책이 부재하단 점도 한계”라며 “비만은 단순한 개인적 문제가 아니라 국가 차원의 지원과 공공 보건정책을 통해 종합적으로 다루어야 할 건강 불평등 문제”라고 지적했다.

“비만은 가난의 상징이 될까? — Wegovy, Mounjaro가 만든(혹은 만드는) 새로운 격차”

즉, 비만이 가난과 관계가 있다는 인식이 생길 수 있나? 

비만 치료제들 (Wegovy, Mounjaro 등)의 등장으로 새로운 건강·경제적 격차가 생기는가? 라는 질문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두 축으로 나누어 답변해 보겠습니다.

1. 비만과 가난: 관계성과 사회적 인식

(1) 역학적 관계: 가난한 계층과 비만의 연관성

많은 연구는 저소득층 혹은 사회경제적 여건이 낮은 집단에서 비만 비율이 더 높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WHO의 보고서에서도 유럽 등 고소득국가 내에서는 낮은 사회경제층에서 비만이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 iris.who.int
  • 스코틀랜드의 사례를 보면, 시간 흐름에도 계층 간 비만 격차가 사라지지 않고 남성/여성별로 경로는 다르지만 지속적인 불평등이 존재했습니다.
  • BioMed Central
  • 미국에서는 빈곤 지역일수록 접근 가능한 신선한 식자재나 건강식이 적고, 가공식품 중심의 저비용 고열량 음식 소비가 많다는 보도도 많습니다.
  • 가디언+1
  • 또, 비만과 가난 관계를 설명하는 ‘빈곤-비만의 역설(poverty-obesity paradox)’이라는 개념도 존재합니다.
  • “가난하면 음식도 충분히 못 먹을 텐데 왜 비만이 많을까?”라는 역설을 지칭하는 개념입니다.
  • 메디컬뉴스투데이

이런 역학적 사실이 있다는 것은, 무조건 “비만 = 가난”의 등식이 성립한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통계적 경향과 구조적 맥락에서는 그런 연관이 실제로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입니다.

(2) 인식 및 낙인 (Stigma)

비만이 ‘가난의 상징’처럼 여겨지는 것은 사회적 인식과 낙인 구조와 연결됩니다.

  • 사회적으로, 풍요와 여유는 ‘건강한 식습관’, ‘운동 시간’, ‘고급 식품’ 등과 연결되기 쉽고, 반대로 저소득층은 시간과 비용 제약 때문에 “편한 음식, 값싼 음식”에 더 의존할 가능성이 높다는 인식이 퍼져 있습니다.
  • 이러한 인식은 비만인 사람들에게 “자기 관리 부족”, “습관의 잘못” 같은 책임 귀속 낙인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비만 자체는 다양한 요인 (유전, 대사, 환경, 스트레스, 사회구조 등)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단순히 개인의 선택의 문제로만 환원하는 것은 과도한 낙인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만을 ‘가난의 상징’으로 보는 시각은 과학적 근거 일부를 반영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사회적 편견이나 낙인 구조를 재생산할 위험도 있습니다.


2. Wegovy, Mounjaro 등 최신 비만 치료제와 새로운 격차

Wegovy(semaglutide 계열)나 Mounjaro(tirzepatide 계열) 같은 약물들이 점점 널리 쓰이게 되면, 이런 치료 접근성의 격차가 “건강 격차” 혹은 “경제 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1) 치료제의 비용과 보험 적용

  • 이러한 약제들은 일반적으로 고가입니다.
    보험이나 공공의료 체계가 충분히 보조하지 않는 나라에서는 개인이 전액 부담해야 할 가능성이 큽니다.
  • 따라서 소득 수준이 낮은 사람은 치료를 받지 못하거나 지속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고, 반면 중산층 이상은 치료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로 인해 치료 가능성이 건강 격차를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2) 치료제의 효과와 사회적 자본

  • 만약 이러한 약제가 상당히 효과적이라면, 이를 쓴 사람들은 체중 감소뿐 아니라 건강 증진, 삶의 질 향상, 관련 만성질환 위험 감소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이 기회를 누리지 못한 계층은 상대적 불이익을 겪게 되고, 사회 전체적으로 건강 불평등이 더 벌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3) 예방 vs 치료 중심 전환과 자원 할당 문제

  • 공공보건 입장에서는 비만 예방—식생활 개선, 운동 프로그램, 도시 설계 개선 등—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새 약물의 등장으로 정책적 관심과 끊임없는 자원이 치료 쪽으로 쏠릴 위험이 있습니다.
  • 만약 자원이 제한된 상태에서 치료 중심 접근이 너무 강조되면, 예방·구조적 개입(저소득층의 식품 접근성 개선, 도시 녹지 확대 등)에 대한 투자 기회가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4) 낙인과 격차 강화 효과

  • 치료제를 사용할 수 있는 계층이 “슬림해진 몸매 + 건강” 이미지를 누린다면, 사회적 인식에서 비만은 더더욱 낙인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또한, 치료제를 쓰지 못한 계층은 “스스로 관리 못 하는 사람”으로 비난받을 위험이 더 커질 수 있죠.

3. 한계, 복합성, 주의점

  • 비만은 단순히 식이와 운동의 문제만이 아니라 유전, 대사, 스트레스, 환경(거주지의 체육시설, 보행 가능성, 식품 접근성 등), 사회구조적 조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 일부 중소득·중진입국에서는 오히려 경제 수준이 높을수록 비만율이 먼저 증가하다가, 소득이 매우 높아지면 역전되는 패턴도 관찰됩니다 (“비만 쿠즈네츠 곡선” 개념) 위키백과+1
  • 즉 비만과 빈곤 사이의 관계는 단순한 인과관계보다는 상호작용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요약 및 제언

  • 비만과 가난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고, 사회구조적 요인들이 이를 설명해 줄 수 있습니다.
  • 그럼에도 “비만 = 가난의 상징”이라는 인식은 과도한 낙인을 강화할 위험이 있습니다.
  • Wegovy, Mounjaro 등 새로운 비만 치료제는 접근성의 격차를 통해 건강 격차를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 따라서 이런 약제의 도입과 확산은 형평성 고려, 공공의료 보조, 예방 중심 투자, 사회적 낙인 완화 전략 등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요약

  • 비만은 다요인(유전·환경·소득·교육·식품·도시구조) 결과지만, 저소득층에 더 많이 집중되는 경향이 여러 나라에서 관찰됩니다.
    한국도 ‘저소득층에 비만이 더 집중되는(pro-poor inequality)’ 양상이 보고되었습니다.
    MDPI+1
  • GLP-1 계열(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 마운자로/티르제파타이드 등)의 강한 효과 + 높은 비용 + 불균등한 보험 적용은 “새로운 건강격차”를 키울 수 있습니다.
  • (미국 Medicare 일부 용도 인정 확대, 영국 NHS 제한적 급여, 일본 공보험 조건부 급여, 한국은 비만치료 목적 급여 미적용이 원칙) gangnamobgyn.com+9KFF+9Verywell Health+9

국가별 스냅샷

대한민국

  • 유병/격차: 소득·교육수준에 따른 비만 불평등이 관찰됨(여성에서 더 뚜렷). 최근 소아·청소년 비만도 코로나 시기 급증. PMC+2BMJ Open+2
  • 약제·보험: 위고비 국내 출시(’24) 이후 미용 목적 남용 단속을 예고. 원칙적으로 비만 치료 목적은 건강보험 비급여(자비). 클리닉 판매가가 월 수십만 원대로 안내되는 실정. 코리아헤럴드+2KBR+2
  • 정책 시사점: 보험 미적용 상태가 장기화되면 고가 약제 접근성이 소득에 의해 갈릴 위험이 큼.

영국

  • 급여: NICE가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를 BMI 기준(주로 35 이상 + 동반질환) 등 조건으로 NHS 사용 권고(’23). 이후 **티르제파타이드(마운자로)**도 비만 치료 용도로 승인·권고 확대. 6개월 내 5% 감량 미달 시 중단 등 사용 관리 기준 존재. NICE+2NICE+2
  • 의미: 공공 급여이지만 대상·기간을 제한하여 형평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고려.

미국

  • 급여: 전통적으로 Medicare는 비만약 급여 금지(법률). 다만 위고비의 심혈관 위험감소 적응증 승인(2024)Part D에서 해당 적응증에 한해 보장 가능해 ‘틈새 급여’가 열림. 주(州)별 Medicaid 급여는 아직 제한적(’24년 8월 기준 13개 주 수준). 사보험은 플랜별 편차 큼. stop.publichealth.gwu.edu+4Verywell Health+4KFF+4
  • 의미: 고비용·플랜 편차 → 소득·직장·지역에 따른 접근성 차등이 지속.

일본

  • 급여: 2023~24년 위고비 공보험(NHI) 급여 적용 시작(조건부) 보도 및 학술 리뷰 보고. 일반적으로 BMI 기준(예: ≥35, 또는 ≥27+합병증) 등 제한적 급여로 알려짐. asinta.com+2dom-pubs.onlinelibrary.wiley.com+2
  • 의미: 조건부 급여로 의학적 필요성 기준을 엄격히 적용해 공적재정 부담과 형평성을 조율.

왜 ‘새로운 격차’인가?

  1. 효과는 크고(두 자릿수 % 감량), 2) 가격은 높고, 3) 급여는 제한적이기 때문. 급여가 넓을수록 격차가 줄지만, 재정 부담이 급증—정책의 ‘트릴레마’가 발생합니다.
    유럽 학회는 2025년 가이드라인에서 GLP-1을 1차 약제로 권고까지 했지만, 비용·지속성·부작용·형평성을 함께 고민하라 권고합니다.
    Reuters

형평성 중심 정책 대안(한국 포함)

A. 약제 접근성(‘누가, 어떤 조건으로, 얼마나’)

  • 조건부 급여(시범→단계 확대):
  • 예: BMI + 동반질환 기준(영국·일본 모델), 6개월 내 ≥5% 감량 시 지속, 미달 시 중단(성과기반). NICE
  • 성과기반 지불(Outcomes-based): 일정 감량·대사지표 개선 달성 시 약가 인하/리베이트. (영국의 중단 기준은 운영 참고) NICE
  • 소득연동 본인부담(슬라이딩 코페이): 저소득층 본인부담 경감, 고소득층은 자부담 유지로 재정 균형.
  • 의료전달체계 내 사용 관리: 비만의학·내분비 전문의 중심 처방, 다학제(영양·운동·행동치료) 연계 필수 조건.

B. ‘예방·환경’ 투트랙 (약만큼 중요한 기본축)

  • 설탕음료(SSB) 정책 패키지:
  • 세금 부과 + 제품 재배합(리포뮬레이션) 유도 + 아동 마케팅 규제.
  • 근거: 멕시코 SSB세 후 과세 음료 구매 6~12% 감소, 저소득층에서 감소 폭 더 큼. 영국 SDIL은 가정 당 음료 당류 구매량 감소·대규모 리포뮬레이션 확인. → 저소득층에 상대적으로 이득인 경향. PLOS+4BMJ+4PMC+4
  • 건강한 도시·학교: 보행·자전거 인프라, 공원·체육시설 접근성, 학교 급식·스쿨기준 강화(가성비 높은 형평성 정책).
  • 식품 접근성 격차 완화: 신선식품 바우처/모바일 마켓, 편의점 건강코너 의무비율 등.

C. 공공 프로그램과 ‘행동치료’ 기본세트화

  • 디지털 코칭·집단 상담을 표준 묶음(약제 시작·중단과 무관하게)으로 제공—체중 재증가 방지.
  • 고위험군(합병증 동반, 소아·청소년, 산후·갱년기 등) 타깃형 개입으로 한정 재정을 집중.

D. 정보·안전·공급관리

  • 안전 모니터링·오남용 단속: 한국 MFDS의 남용 방지 방침처럼, 광고·미승인 적응증 판매 대응. 공급부족 시 당뇨환자 우선공급 규칙. 코리아헤럴드+1
  • 공정한 대기·할당: 재고 부족 시 임상위험도 기반 우선순위.

E. 재정영향 관리

  • 약가 협상 + 위험공유 계약: 고가 신약의 예측 불확실성을 줄이는 대표 수단(성과 미달 시 환급).
  • 비용-효과성 재평가 루프: 실제진료자료(RWD)로 1~2년 주기 재평가—급여 범위와 가격을 동적으로 조정.

한국형 로드맵(제안)

  1. 1단계(시범): BMI≥35 또는 BMI≥30+합병증 대상으로 6개월 급여(행동치료 필수), 5% 감량 달성 시 6개월 연장, 미달 시 중단. 저소득층 코페이 경감.
  2. 2단계(확대): RWD로 비용-효과성 검증 후 대상을 점진 확대, 디지털 코칭 상시화.
  3. 환경·예방 병행: 설탕음료 정책 패키지(세·리포뮬·마케팅규제)와 학교·직장 급식 개선을 병행—저비용 고형평성. PMC+1

마무리 포인트

  • 비만을 ‘가난의 상징’으로 낙인화하면 오히려 치료·예방 참여를 떨어뜨립니다.
    형평성은 **“누구나 접근 가능한 기본 패키지(예방·행동치료) + 의학적 필요성 기반의 조건부 약제 접근”**으로 설계할 때 가장 잘 달성됩니다.
  • 위 정책들은 **단일 해법이 아닌 ‘묶음(bundled)’**으로 갈 때 격차를 줄이는 효과가 큽니다.



댓글 쓰기

Welcome

다음 이전